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페이지하단 바로가기

도서·음원

울산의 책과 음악, 이곳에서 만나보세요.

HOME

도서·음원

전체

전체

추천

정정윤가야금첫번째이야기:울산의낭만

음악가소개
정정윤 외 이재진, 이찬우, 홍윤경, 이혜림, 김경연
수록곡

01. 율리곡 / Yulli-Gok (앨범 대표곡)/ 길이: 09:03

 

울산의 대표 설화 ‘처용설화’를 모티프로 한 창작 연주곡인 율리곡은 전통의 리듬과 선율을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한 곡으로, 처용이 설화 속 춤을 췄던 동작을 상상하며 첼로의 활을 손동작, 가야금은 발재간을 묘사하였다. 가야금과 첼로의 깊고 섬세한 음색으로 설화의 몽환성과 서정을 담아낸다.

 

Inspired by Cheoyong, a legendary figure from Ulsan’s most iconic folktale, Yulligok* is a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Korean rhythms and melodies. Envisioning the dance Cheoyong performed in the tale, the piece portrays his graceful hand gestures through the bowing of the cello and his nimble footwork through the plucking of the gayageum. The rich, delicate tones of both instruments weave together to evoke the dreamlike and poetic atmosphere of the myth.

(“Gok” is a term commonly used in transla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itles.)

 

02. 하늬바람 /  Westerly  / 길이: 08:22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뜻하는 ‘하늬바람’은 울산 태화강 십리대숲을 스쳐 지나는 바람결처럼 잔잔하고 유려하다. 자연 속에서 느낀 바람의 숨결과 대숲의 파동을 담아,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움을 가야금의 섬세한 터치로 표현했다. 

 

Named after the gentle southern wind, Hannibaram flows with the grace of a breeze brushing through the bamboo forest along Ulsan’s Taehwa River. Inspired by the breath of wind and the subtle waves within nature, the piece delicately expresses the harmony between nature and humanity through the nuanced touch of the gayageum.


03. 돌의기억 /  Reminiscence of the stone / 길이: 07:31

수천 년 전 바위에 새겨진 삶의 흔적, 반구대 암각화는 지금도 강가의 돌 위에서 조용히 시간을 이야기한다. 이 곡은 고요한 선율 속에 선사인의 숨결을 담고 있으며, 전통 국악기의 음색과 현대적 작곡 기법이 어우러져 과거와 현재를 잇는 시간의 교차로를 음악으로 형상화했다.

Carved into ancient rocks along the Bangucheon Stream thousands of years ago, these petroglyphs silently tell stories of a distant past. This composition brings their echoes to life, blending the serene melodies of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with modern musical expression. Through this fusion, it creates a bridge between prehistoric times and the present, inviting listeners to experience the timeless spirit of the region.

04. 별궤적 / Star Trajectory / 길이: 07:50

울산의 공장지대에서 피어나는 야경의 불빛과 별빛의 흐름에서 영감을 받았다. 도시의 산업적 이미지가 갖는 차가움과 대비되는 열정적으로 일하는 산업 노동자의 꿈과 낭만을 발견, 음악적으로 그려내고자 하였다. 불빛으로 수놓인 공단의 밤이 낭만으로 피어나는 순간, 도시의 또 다른 아름다움을 마주하게 된다. 이 곡은 단순한 퓨전이 아닌, 전통과 현대의 조화 속에서 울산의 고유한 감성과 가능성을 탐색하는 음악적 여정이다.

Inspired by the flow of city lights and starlight blooming over Ulsan’s industrial district at night, this piece uncovers the passion and dreams of hardworking industrial workers amidst the cold, mechanical image of the city. It musically portrays the moment when the factory-lit night blossoms into romance, revealing a new and unexpected beauty within the urban landscape. Far from a simple fusion, this composition embarks on a musical journey exploring the unique spirit and potential of Ulsan through the harmony of tradition and modernity.



음악가정보

bd466515a7a083010a974ef0adc15f68.jpg
 

정정윤 외 이재진, 이찬우, 홍윤경, 이혜림, 김경연

정정윤은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감각으로 가야금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연주자이자 프로듀서이다.

국내 음악대학에서 가야금 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하며 깊이 있는 음악적 연구와 실연을 병행해온 그녀는, 이번 창작 음반 『정정윤 가야금 첫 번째 이야기 : 울산의 낭만』을 통해 지역성과 악기의 개성을 융합한 새로운 시도를 선보인다.

 

이 음반은 처용설화, 반구천 암각화, 태화강 대숲, 공업단지의 도시성 등 울산의 서사적 요소를 테마로 구성되었으며, 총 4인의 작곡가와의 협업을 통해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다채로운 사운드를 구현했다. 정정윤은 본 프로젝트의 가야금 연주자이자 저작권자, 최종 프로듀서로서, 음악의 방향성과 미학적 흐름을 주도했다.

 

솔리스트로서의 개성과 지역문화 해석을 함께 담아낸 이번 작업은, 정정윤의 예술적 정체성과 학문적 깊이를 함께 보여주는 결과물이다.

앨범(곡) 소개

“가야금으로 노래하는 울산의 풍경과 서사”

 

가야금 연주자 정정윤의 첫 창작 음반 가야금 첫 번째 이야기 : 울산의 낭만은

전통악기 ‘가야금’의 솔리스트적 감성에 지역적 정체성을 더한 특별한 창작 프로젝트입니다.

 

이 음반은 울산을 중심으로 한 설화와 풍경, 도시의 정서를 음악으로 풀어내며, 가야금과 첼로, 국악적 리듬과 현대적 화성, 깊은 서정성과 공간감을 통해 전통과 현대, 자연과 도시를 잇는 감각적인 사운드를 만들어냅니다.


수록곡

01. 율리곡 / Yulli-Gok (앨범 대표곡)/ 길이: 09:03

 

울산의 대표 설화 ‘처용설화’를 모티프로 한 창작 연주곡인 율리곡은 전통의 리듬과 선율을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한 곡으로, 처용이 설화 속 춤을 췄던 동작을 상상하며 첼로의 활을 손동작, 가야금은 발재간을 묘사하였다. 가야금과 첼로의 깊고 섬세한 음색으로 설화의 몽환성과 서정을 담아낸다.

 

Inspired by Cheoyong, a legendary figure from Ulsan’s most iconic folktale, Yulligok* is a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Korean rhythms and melodies. Envisioning the dance Cheoyong performed in the tale, the piece portrays his graceful hand gestures through the bowing of the cello and his nimble footwork through the plucking of the gayageum. The rich, delicate tones of both instruments weave together to evoke the dreamlike and poetic atmosphere of the myth.

(“Gok” is a term commonly used in transla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itles.)

 

02. 하늬바람 /  Westerly  / 길이: 08:22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뜻하는 ‘하늬바람’은 울산 태화강 십리대숲을 스쳐 지나는 바람결처럼 잔잔하고 유려하다. 자연 속에서 느낀 바람의 숨결과 대숲의 파동을 담아,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움을 가야금의 섬세한 터치로 표현했다. 

 

Named after the gentle southern wind, Hannibaram flows with the grace of a breeze brushing through the bamboo forest along Ulsan’s Taehwa River. Inspired by the breath of wind and the subtle waves within nature, the piece delicately expresses the harmony between nature and humanity through the nuanced touch of the gayageum.


03. 돌의기억 /  Reminiscence of the stone / 길이: 07:31

수천 년 전 바위에 새겨진 삶의 흔적, 반구대 암각화는 지금도 강가의 돌 위에서 조용히 시간을 이야기한다. 이 곡은 고요한 선율 속에 선사인의 숨결을 담고 있으며, 전통 국악기의 음색과 현대적 작곡 기법이 어우러져 과거와 현재를 잇는 시간의 교차로를 음악으로 형상화했다.

Carved into ancient rocks along the Bangucheon Stream thousands of years ago, these petroglyphs silently tell stories of a distant past. This composition brings their echoes to life, blending the serene melodies of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with modern musical expression. Through this fusion, it creates a bridge between prehistoric times and the present, inviting listeners to experience the timeless spirit of the region.

04. 별궤적 / Star Trajectory / 길이: 07:50

울산의 공장지대에서 피어나는 야경의 불빛과 별빛의 흐름에서 영감을 받았다. 도시의 산업적 이미지가 갖는 차가움과 대비되는 열정적으로 일하는 산업 노동자의 꿈과 낭만을 발견, 음악적으로 그려내고자 하였다. 불빛으로 수놓인 공단의 밤이 낭만으로 피어나는 순간, 도시의 또 다른 아름다움을 마주하게 된다. 이 곡은 단순한 퓨전이 아닌, 전통과 현대의 조화 속에서 울산의 고유한 감성과 가능성을 탐색하는 음악적 여정이다.

Inspired by the flow of city lights and starlight blooming over Ulsan’s industrial district at night, this piece uncovers the passion and dreams of hardworking industrial workers amidst the cold, mechanical image of the city. It musically portrays the moment when the factory-lit night blossoms into romance, revealing a new and unexpected beauty within the urban landscape. Far from a simple fusion, this composition embarks on a musical journey exploring the unique spirit and potential of Ulsan through the harmony of tradition and modernity.



함께하신 분들
837a0c354fe6bfd4f55e00f810ac62dc.jpg
328bcc8f66598d79ed5fd5ae4111ebf1.jpg
음악가의 더 많은 곡 보러가기
준비중입니다.

레이어팝업

레이어팝업 내용


잠시만 기다려주세요.